
안녕하세요, 인생필살기!입니다.
지난번 티스토리 유입률 9에서 573으로 끌어올린 방법 포스팅의 연장글이네요.
적극적인 외부유입을 통해 방문수를 늘린 방법 중
첫번째 외부유입 방법 구글서치콘솔과 티스토리와의 연동방법을 얘기해보겠습니다.
이전글, 외부유입 사이트 7가지 및 장단점 (feat, 2주만에 일간 방문수 9에서 573으로)
티스토리 외부유입 사이트 7가지 및 장단점 A to Z (feat, 2주만에 일간 방문수 9에서 573으로)
안녕하세요! 인생필살기입니다. 현재 세컨블로그를 운영중 입니다. 2023년 1월말부터 본격적인 블로그 관리를 시작하였습니다. 제목이 꽤 자극적 이지만, 단 2주만에 일간방문수 9에서 573까지 이
lifemove.tistory.com
우선, 구글 서치 콘솔이 뭔지 알아야겠죠?
또한 사이트맵 / RSS 는 또 뭔지 간단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외부유입 사이트 7가지 및 장단점] 의 글 발췌하였습니다 :)
※이미 아래 정보에 대해 알고 계시다면 패스 하셔도 됩니다
01. 구글 서치 콘솔 (Google Search Console) by Google

구글 서치 콘솔은 구글이 등록한 검색엔진이다. 해당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구글 검색 결과 모니터링 관리, 문제 해결에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구글서치콘솔에 연동된 블로그 글은 더욱 빠른 상단 노출이 가능하다.
장점: 더 빠르게 구글 상단 노출 ... 검색노출 및 사이트 상태를 보다 빨리 파악가능
크롤링 파악 / 콘텐츠 에러 파악 / 색인생성요청 등의 기능이 있다. 즉각적으로 내 글이 노출이 되고 있는지 어떤 오류가 있는지 등 파악이 가능하다. 구글을 통해 유입된 데이터들을 (노출, 검색 페이지 등) 블로그 운영자로서 상세하게 파악 가능하며, 방문하는 사용자, 사이트 내 검색 기능 뿐 아니라 구글에 사이트맵, RSS를 제출해 자신의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구글을 통한 외부유입이 높은 티스토리는 구글 서치 콘솔 등록이 가장 중요하고 도움이 된다.
02.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or Rich Site Summary)
정말 간단한 조직(신디케이션) 의미 인데요. 또는 풍성한 사이트 요약이라고도 불린다고 하네요. RSS를 등록하면 내 블로그를 방문하지 않아도 새로운 글이 뜹니다.
유투브에서
메인화면에 내가 구독하지 않은 사람의 영상이 뜨는 것 (RSS)
vs
구독 탭으로 들어가서 구독한 크리에이더의 영상만 확인 (블로그 방문)
의 차이인 것이죠.
03. 사이트맵 (sitemap)
말 그대로 제 사이트의 맵(지도)를 만들어주는 것 입니다. 자동적으로 내 블로그의 설계도를 만들어주어 내가 작성한 글을 분류해 적절한 카테고리로 분류 시키는 것이죠.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지능적으로 크롤링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알고리즘을 탈 수 있답니다.
구글서치콘솔 웹사이트 방문해보기: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welcome?hl=ko
자, 그럼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러 가보실까요?
아래 총 6단계만 따라와 주시면 되세요 !!
★ 구글서치콘솔 등록 전 구글 계정 여부 확인하기
구글서치콘솔은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해야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구글 회원가입은 필수입니다.
서치콘솔 등록 전 구글 계정이 있는지 미리 확인하시고 오세요.
Step 1 - 구글서치콘솔 시작
1) 구글서치콘솔 홈페이지 접속 (하단 링크 클릭)
: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about?hl=ko
2) 홈페이지에서 '시작하기' 클릭

Step 2 - 속성유형선택, "URL 접두어"

1) 도메인이 아닌 URL 접두어 선택
2) 하단 example.com에 본인 사이트 기재
3) 계속
본인 블로그의 '오리지널 URL' 주소를 복사해 줍니다. com/169 처럼 숫자가 있는게 아닌 깔끔하게 com/으로 끝나는 주소
그리고 URL 접두어 example.com 란에 복사하고 계속을 클릭해주세요.
☆ 도메인과 URL 접두어 차이점
도메인은 DNS 레코드만을 통해 인증 가능하다. 모든 하위 도메인의 데이터(www. , http , https , ftp)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URL 접두사는 입력한 속성과 하위 도메인 레벨만 포함된다. 도메인인증과 달리 HTML 파일 업로드 - 태그등 여러 편집 기능을 통해 사이트 소유 인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Step 3 - 소유권 확인

1) 소유권 확인 하단 HTML 태그 클릭
2) 클릭하면 오른쪽과 같은 화면으로 변하는데,
<meta name = .... > '복사' 클릭
※ 아직 확인 누르면 안된다
그럼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하단 다른 확인 방법 중 HTML 태그를 클릭하면, 오른쪽과 같이 변하는데 <meta name ...> 옆 '복사' 클릭합니다.
위의 코드를 티스토리 블로그에 삽입 시켜 구글 서치 콘솔과 연동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티스토리 블로그에 삽입을 시키고, 확인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복사만 하고 아직 확인 누르면 안됩니다!
Step 4 - 티스토리에 HTML 코드 입력 (★)

1) 티스토리 관리에 들어가 스킨편집
2) html 편집
3) <head> 바로 아래 복사한 코드 붙여넣기
4) 적용
이제 소유권 확인을 위해 서치콘솔에서 복사한 html 코드를 티스토리 블로그에 삽입 하겠습니다.
블로그 관리에 들어가 "스킨편집"을 클릭하면
화면우측에 사진중간과 같은 페이지가 뜹니다. 바로 위에 뜨는 [html 편집]을 클릭해 줍니다.
그럼 위 사진 바로 오른쪽과 같은 이상한 코드들이 막 떠요.
잘 읽어 보시면 <head> 가 있습니다.
바로 아랫단을 클릭하고 복사한 링크를 붙여넣고 적용을 눌러줍니다.
Step 5 - 구글서치콘솔 소유권확인

위의 작업이 끝났다면, 다시 원래 작업 화면으로 돌아가
1) 확인 클릭
2) 기다리기
3) 소유권 확인됨 완료 클릭
코드를 티스토리 블로그에 삽입 시켜 구글 서치 콘솔과 연동하는 방식 이라 했는데,
티스토리에 연동 코드 삽입이 끝났으니 이제 확인을 눌러준다.
버퍼링 페이지가 뜨면 기다려주고, 위 절차를 잘 따라 왔다면 소유권 확인됨 창이 뜬다.

★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
하지만 여기까지 오시면 거의 다 한거나 마찬가지입니다.
아래 한가지만 더 추가해주면 되니까요.
Plus 1 - sitemap, rss 등록

1) Sitemaps 에 들어가
2) sitemap.xml 제출
3) rss 제출
정상적으로 구글 서치 콘솔에 소유권이 확인되면 왼쪽 창에 다음과 같은 bar 가 있습니다.
색인생성 -> Sitemaps 를 클릭한 후,
새 사이트맵 추가에 "sitemap.xml" 과 "rss" 만을 입력해 각각 제출해 줍니다.

하게되면 다음과 같이 "성공" 으로 뜨게 됩니다.
그럼 구글 서치 콘솔 블로그 연동과 사이트맵 RSS 등록까지 모두 끝난 겁니다!
다음과 같이 총 5단계 + 1단계를 거쳐
구글서치콘솔에 내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이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 드려요 :)

댓글